2023. 4. 8. 07:30ㆍ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목차
1. 증감지/필름의 장점과 단점
2. 유방촬영용 Film의 특징
3. 단면유제 필름의 구성
4. 스크린의 구성
5. 유방촬영장치 구성 중 일반촬영과 확대촬영일 경우 순서
6.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조절해야할 인자
1. 증감지/필름의 장점 과 단점
장점은 낮은 방사선조사, 높은 필름대조도, 높은 감도, 확대검사 같은 특별한 기술 이용이 가능하다는점, 자동화된 90초 필름 현상과정이 있습니다.
단점은 non-screen보다 낮은 해상력, 높은잡음, 긴 조사시간, 빈도높은 artifact가 있습니다.
2. 유방촬영용 film의 특징
유방촬영용 필름은 X선을 투과시키면서 유방조직의 구조와 밀도를 구별하기 위해 제조된 필름입니다. 유방촬영용 필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대조도 : 유방조직의 구조와 밀도를 구별하기 위해 필요한 대조도가 높습니다.
선예도 : 얼마나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유방촬영용 필름은 높은 선예도를 가지고 있어서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상도 : 이미지에서 가장 작은 세부사항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유방촬영용 필름은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서 유방조직내부의 세부 이상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손상 방지 기능 : 유방촬영용 필름은 일반적인 필름과 달리 손상방지 기능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촬영 후 필름을 다룰 때, 손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방사선 노출량 : 유방촬영용 필름은 방사선 노출량을 최소화하도록 제조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방사선 노출량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필름의 유제 입자가 작으면서 균일한것을 사용합니다.
3. 단면유제 필름의 구성
단면 유제 필름은 보호층(젤라틴의 얇은층)-유제층-하도포층(젤라틴)-지지체(폴리에스테르)-Curl 및 Halation 방지층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호층(Protective layer) :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층입니다. 유방촬영시 보호층을 통해 필름이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유제층(Emulsion layer) : 필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층입니다. 유제층은 X선에 노출되었을 때, 민감하게 반응하여 영상을 생성합니다.
하도포층(Substrate layer) : 필름의 기본재로써 필름의 구조를 유지하고, 유제층과 보호층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지체(Base) : 필름의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유제층, 하도포층, 보호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Curl 및 Halation방지층 : 필름이 휘어짐을 방지하고, 유제층을 통과하여 하도포층에 도달하면 반사되어 유제층에 다시 반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층입니다.
4. 스크린의 구성
스크린은 Base, Reflective or Absorptive Layer, Sustration, Phespher, Super Coating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ase : 스크린의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스크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Reflective or Absorptive layer : 방사선을 받아서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층은 방사선을 받으면 그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빛을 발생시킵니다.
Substrate : 스크린의 기본재로써 스크린의 구조를 유지하고 reflective layer와 다른 층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hosphor : 방사선이 충돌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입니다. 대부분의 스크린은 phosphor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uper Coating : 스크린을 보호하고 빛의 투과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스크린의 내구성과 빛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코팅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크린의 유제 표면이 맞닿는 곳의 X선흡수가 우리가 영상을 얻고자 하는 부분에 가장많이 되도록 하려고 단면스크린은 필름뒤에 놓이게 됩니다.
5. 유방촬영장치 구성 중 일반촬영과 확대촬영일 경우 순서
- 일반 유방촬영 : 튜브 - 필터 - 콜리메이터 - 압박판 - 유방 - 지지대 - 그리드 - 카세트 - AEC
- 확대 유방촬영 : 튜브 - 필터 - 콜리메이터 - 압박판 - 유방 - 확대스텐드 - 카세트
6.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조절해야할 인자
관전압 : 관전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촬영대상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 적절한 방사선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관전압을 선택하면 불필요한 방사선을 방출하지 않고 적절한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kVp ↑)
관전류 : 관전류는 방사선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를 제공합니다. 적절한 관전류를 선택하면 불필요한 방사선을 방출하지 않고 적절한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mAs ↓)
필터 : 필터는 방사선 흡수를 조절함으로써, 촬영대상에서 노출되는 방사선의 양을 감소시킵니다. 필터를 사용하면 적절한 화상품질을 유지하면서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filter ↑)
그리드 : 그리드는 촬영 대상의 방사선을 다른방향으로 방출함으로써, 촬영 대상의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방사선의 양을 감소시킵니다. 그리드를 사용하면 적절한 화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grid비율 ↓ )
'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의 기원과 해부학적 구조 (0) | 2023.04.10 |
---|---|
유방촬영 현상액의 조건 및 각종 인자와의 상관관계 (0) | 2023.04.10 |
유방촬영의 압박과 그리드비 (0) | 2023.04.07 |
유방촬영장치의 구조와 역할 (0) | 2023.04.07 |
유방촬영의 역사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