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의 기원과 해부학적 구조

2023. 4. 10. 22:19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728x90
반응형

목차

1. 유선의기원

2. 기유란 무엇인가

3. 유방의 해부학적 위치

4. 스팬스 테일(Spense Tail)이란?

5. 유방하주름(Inframammary Crease)

6. 몽고메리선(Montgomery gland)

7. 유방실질(Parenchyma)

8. 아시노(Acini)

9. 유방조직에서의 소엽(lobe)의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10. TDLU(Terminal Duct Lobular Unit)

11. 유방내 동맥(internal mammary artery)

 

1. 유선의 기원

유선의 기원은 상피(epithelial)에서 비롯됩니다. 유방조직은 외배엽층(mammary or milk line)에서 발생합니다. 배아 발생 초기에는 유방 조직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여러개의 발생단계를 거치며 형성됩니다. 이러한 단계 중 하나가 외배엽층입니다. 여기서 유방조직이 발생하고 이후에는 미세한 세포분열과 분화가 일어나 유선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2. 기유란 무엇인가

신생아의 유방이 팽륜하면서 분비물을 보이는 것을 기유(Witch's Milk)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유방조직이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태반은 출생 후에 분리되면서 호르몬 분비가 중지되지만, 유방조직은 여전히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아 발달하게 됩니다.

기유현상은 보통 출생 후 몇주에서 몇개월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유방이 팽륜하거나 분비물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감염이나 염증 등의 이유로 신경쓸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하는것이 좋습니다

 

3. 유방의 해부학적 위치

유방의 위치는 대체로 major pectoral muscle 전방과 serratus anterior muscle(전거근) 전방에 위치하며, 둘째 늑골 상단부터 여섯째 늑골 하단까지 이어집니다.

유방의 무게는 여성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 200g에서 1kg 사이입니다. 이러한 무게는 유방 내의 조직과 선관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4. 스팬스 테일(Spense Tail)이란?

유방의 심부표면은 원형이며 후방 표면은 편평하거나 약간 오목합니다. 유방의 상외측에서 겨드랑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부위는 스팬스 테일(Spence Tail)이라고 합니다. 스팬스 테일은 유방 조직에서 유방 주위의 림프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종양이나 농양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유방하주름(Inframammary Crease)

유방하단과 흉벽의 경계 부위는 유방하 주름(Inframammary Crease)이라고 합니다. 유방하 주름은 유방하부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유방과 흉벽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입니다.

유방확대수술이나 유방축소수술 등의 유방수술에서 주름의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유방암 진단을 위한 유방촬영 검사에서도 주름의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몽고메리선(Montgomery gland)

유두 주변에 있고 특히 유륜 표면에 존재하는 작은 유두샘(mammary gland) 중 하나인 몽고메리선(Montgomery gland)은 수유시 유두 유화의 기능을 가지고 분비물을 생성합니다. 몽고메리선은 유두의 피부 위에 작은 점액성 선처럼 보이며, 유방 조직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선들은 유방을 보호하고 유해균으로부터 유두를 보호하기 위한 항균작용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감염이나 염증으로 인해 몽고메리선이 붓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두 주변의 붓거나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유방 실질(Parenchyma)

유방의 변화를 나타내고 기능적인 면을 담당하는 것은 실질(Parenchyma)입니다. 실질은 12~20개 정도의 작은 소엽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소엽 안에는 미세한 동맥과 정맥이 있습니다. 이 동맥과 정맥을 통해 혈액이 유방 조직으로 공급되고, 유방 내의 세포들이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또한, 실질 내에는 약물 및 호르몬 수용체를 가진 세포들이 있어 여러 가지 호르몬과 약물에 반응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실질은 유방의 기능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 아시노(Acini)

모세혈관을 지지하는 결합조직 아래에 하나의 상피층으로 되어있는 구조를 아시노(Acini)라고 합니다. 아시노는 유방 내부에서 유즙을 생산하는 세포들의 집합체이며, 유즙을 생산하는데 주요 역할을 합니다. 이 유즙분비선들은 특히 수유기 동안에 증가하여 수유에 필요한 유즙을 생산합니다. 유즙은 유방 조직 내의 도관을 통해 유두로 이동하여 수유됩니다.

 

9. 유방조직에서의 소엽(lobe)의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유방조직에서의 소엽(lobe)은 세포와 섬유조직, 그리고 림프관과 혈관 등으로 구성됩니다.

하나의 소엽은 주로 몇개의 아시노(acinus)와 그 주위를 둘러싼 섬유조직과 림프관,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시노는 유즙을 생산하는 유세포(epithelial cell)들의 집합체이며, 섬유조직은 아시노들을 둘러싸고 있으며, 유방조직의 기능적인 지지를 담당합니다. 림프관과 혈관은 유방조직 내의 혈액 순환과 림프순환을 담당합니다.

또한, 소엽을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층인 명주층(myoepithelial layer)은 유방조직내의 세포들을 둘러싸며, 유방의 수축 및 이완에 관여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유방내의 소엽을 이루며, 이 소엽들은 다수의 림프관과 혈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유방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0. TDLU(Terminal Duct Lobular Unit)

TDLU는 Terminal Duct Lobular Unit의 약어로, 유방 내의 소엽 중 하나입니다. TDLU는 유방 내의 유관과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관의 끝 지점에 위치한 소엽의 종단외관과 소엽 자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방암의 원발생부인곳은 유관과 소엽으로 이루어진 TDLU입니다. TDLU내의 상피세포에서 암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후에 암세포는 유방내의 다른부위로 확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방암 진단시, 유방내의 TDLU를 조직검사하여 암세포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11. 유방내 동맥(internal mammary artery)

유방으로 혈액을 가장 많이 공급하는 동맥은 유방내 동맥(internal mammary artery)입니다. 이 동맥은 유방 내부로 향하면서 유방 조직을 향해 가지를 뻗치며, 유방 혈액의 50% 이상을 공급합니다. 이 외에도 유방에는 주로 겨드랑이와 유방 밑부분에서 유입되는 동맥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