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7. 00:23ㆍAbout 방사선사
목차
1. 뼈에 이상없는데 엑스레이 찍어야 하나요?
2. 다른병원에서 검사했고, 이상없다는 소리 들었는데 물리치료만 해주세요
3. 얼마전에 건강검진하고, 다른병원에서 엑스레이 찍었는데, 자꾸 찍으면 문제가 안되나요?
4. 임신준비중인데 방사선검사가 무서워요
1. 뼈에 이상없는데 엑스레이 찍어야 하나요?
병원에서 근무하다보면 하루에도 몇번씩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본인은 뼈에 이상이 없고 멀쩡한데, 왜 엑스레이는 굳이 찍어야하냐고 말이죠.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 엑스레이=뼈사진이라고 생각하지만, 단편적으로 뼈가 부러졌거나 금간것 외에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뼈의 배열이나, 형태를 통해서 뼈외의 관절, 디스크의 정보도 어느정도 유추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병원에서 시행하는 검사들 중 간편하고, 비용도 낮지만 얻을 수 있는정보가 많기에 대부분 정형외과를 방문하게 되면 의사의 판단하에 x-ray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2. 다른병원에서 검사했고, 이상없다는 소리 들었는데 물리치료만 해주세요
요즘은 동네마다 정형외과, 내과, 이비인후과 등 대중적인 진료과목들의 병원개수는 꽤 많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동네만 하더라도 한블럭에 정형외과가 5개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환자분들은 한 병원에 몇 번 다녀보고, 의사스타일이 나랑 맞지 않는다거나, 치료호전이 없게되면 다른병원에 가게되고, 그 병원에서 하는말은 '저 다른곳에서 엑스레이 검사했는데 뼈에는 이상이 없다는데요'라고 말하십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안타깝게도 다른병원에서 검사한 x-ray는 CD로 복사해오지 않는 이상, 개인정보보호법때문에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치료는 의학적인 객관적 자료를 가지고 이루어져야 하는데, 환자분의 말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기때문에, 번거롭지만 다시 x-ray등의 검사를 하게됩니다.
이런걸 피하고 싶으시다면, 검사했던 병원에서 검사결과지라든지 영상을 cd에 담아가지면 중복되는 불필요한 검사를 안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의사분들마다 보는 영상이 차이가 날 경우, 추가로 검사를 더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3. 얼마전에 건강검진하고, 다른병원에서 엑스레이 찍었는데, 자꾸 찍으면 문제가 안되나요?
우리가 언론에서 접한 일본 방사능 문제때문에, 다들 병원에 오면 걱정부터 하시는듯합니다.
하지만, 일본의 그 '방사능'과 의료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은 개념이 다릅니다.
학문적으로 말하지않고 쉽게 설명해본다면, 방사선은 몸에 쌓이는 물질이 아닙니다. 오염된 수산물을 먹어서 몸에 쌓이는것은 '방사능'의 개념이지 '방사선' 이 아닙니다.
특히, 의료방사선은 다른 방사선 노출원에 비해 매우 작으며, 안전한 수준에서 사용할 때는 인체에 해로울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우리가 병원에가서 x-ray를 검사하지 않더라도, 자연속에 존재하는 방사선이 있는데, 건강검진 받을때 흉부사진에서 받는 방사선량은 자연에서 받는 방사선량보다 낮은 수준이라 안심하셔도 됩니다.
다만, CT촬영은 x-ray검사를 몇백장 하는 수준이라서 상대적으로 피폭되는 방사선량이 많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적은방사선량으로도 좋은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CT촬영, 조영제를 이용한 시술 등 그 횟수가 많아진다면, 의료방사선이라 할지라도 조심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의사의 판단하에 적절한 검사를 시행한다면, 환자분께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임신준비중인데 방사선검사가 무서워요
20-40대 가임기 여성분들이 오면 흔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보통의 병원에서는 처음 접수할때 임신여부를 여쭤보거나, 검사전에 꼭 여쭤보고 시행하곤 합니다.
x-ray검사실마다 안내문구가 붙어있기도 하고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의료방사선은 진단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방사선을 사용하기때문에 그 양도 적은편이며, 몸에 쌓이는 는 형태가 아니기때문에, 현재 임신상태가 아니고 임신준비중이시라면 크게 문제는 없긴 합니다.
하지만 준비를 하고 계신만큼, 병원진료를 볼때는 급성으로 아픈경우가 아니라면 임신가능성이 낮은(생리중, 생리직후)기간에 병원에 방문하고, 엑스레이 검사를 하시는것이 좋으며,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때에는 임신테스트기를 해보신 후 방문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급성으로 아픈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의사선생님께 상황을 말씀드리고, 의사의 판단하게 검사 여부를 결정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About 방사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방사선사 연봉 및 노동강도 (1) | 2023.04.19 |
---|---|
방사선사 응시자격 요건 및 주의사항 (2) | 2023.04.17 |
전국 방사선학과의 취업률과 방사선사 국가고시 합격률 (0) | 2023.03.31 |
대학병원부터 개인병원까지 방사선사 어디서 근무할까 (3) | 2023.03.29 |
어깨 엑스레이 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