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촬영 검사방법 및 임상평가표

2023. 4. 12. 22:07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728x90
반응형

목차

1. 유방촬영 labeling 작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

2. 유방촬영의 다양한 기법

3. Roll view

4. Mammography의 목적

5. 임상영상평가표

6. 유방조직의 skin 영상의 농도

 

 

1. 유방촬영 labeling 작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

병원이름, 병원주소, 환자이름, 환자의 고유번호, 검사일자, 좌우표시와 촬영법 표시, 검사자 표시, 카세트와 증감지 표시, 유방촬영장치가 2대 이상일 경우 장치별 표시(로마숫자로)

이러한 정보는 환자의 정보를 식별하고, 유방촬영의 결과를 추적하며, 검사자와 장비의 정보를 기록하고, 추후에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데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이러한 정보는 유방촬영 labeling 작업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2. 유방촬영의 다양한 기법

  • CC View : 유방의 기본촬영법으로 모든 내측조직이 포함되어야 하며, 유두가 가운데 위치, 대흉근을 포함시키며 retroglandular fat*이 포함되게 하는 촬영법 (*Retroglandular fat : 유방 조직 아래에 위치한 지방 조직을 가리킵니다. 유방 조직은 유방 내부에서 유방 선조직과 섬유조직, 혈관, 신경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유방 조직 위나 아래쪽에 지방 조직이 분포해 있습니다. Retroglandular fat은 유방 선조직과 유방 조직 사이에 위치하며, 유방선암 등의 종양이 진단될 때 해당 종양의 위치와 규모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또한, 유방 조직과 비교하여 retroglandular fat이 많은 경우 유방 조직 밀도가 낮아져 유방암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MLO View : 유방조직을 가장 많이 포함시킬 수 있는 촬영법으로 유방하주름이 펼쳐져서 사진에 포함되어야 하는 촬영법
  • 90도 ML(LM) View : 90도 ML(LM) View는 유방촬영에서 사용되는 촬영방법 중 하나로, Mammography의 기본 촬영 방법 중 하나인 MLO View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 촬영방법은 측면에서 유방을 촬영하여, 유방조직을 더욱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90도 ML(LM)view는 MLO view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병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미세 석회화 부분이 밑으로 가라 앉은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병소가 기본 촬영법 중 하나인 사진에서만 보일때, 해당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더라도 90도 ML(LM) view에서는 병소의 위치와 규모를 확인 할 수있어, 그 병소가 진짜인지 판별할 수 있습니다.
  • CV View : Craniocaudal view의 약자로 유방을 위에서 아래로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머리를 반대방향으로 돌리지 않고, 환자를 측면으로 회전시켜 촬영합니다. 이 방법은 valley view라고도 불리며, tube angle을 사용하지 않고 manual technique을 사용하여 촬영합니다. CV view는 유방의 상하측 부위를 촬영하여, 유방 조직의 전반적인 형태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유방촬영에서 가장 기본적인 촬영방법 중 하나이며, MLO view와 함께 사용되어 유방 전체를 더욱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CV view는 유방조직을 압축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압통증상이 있는 환자나 유방암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AT view : 클레오파트view라고도 하며, 유방의 바깥쪽부터 겨드랑이까지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이 촬영법은 유방외측부의 조직을 더 잘 볼 수 있어 유방암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겨드랑이 부분까지 포함하므로 유방암 전이를 찾아내는 데도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촬영법은 유방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하지 않기 때문에 암 발생 위치를 놓치기 쉬우므로, 다른 유방 X선 촬영법과 함께 사용됩니다.
  • 확대 촬영법 : 작은 병소나 질량(mass)의 가장자리와 유방 조직을 분리하여 더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촬영법은 유방 X선 촬영 시 촬영 대상 부위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병소나 석회화 수와 모양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대 촬영법은 유방 X선 촬영 시 다른 촬영법과 함께 사용됩니다. 또한, 병소가 발견된 후 생검 등으로 진단을 확정할 때도 병소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확대 촬영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확대촬영법에서는 공기층과 미세초점을 사용하기때문에 노출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3. Roll view

겹쳐진 유방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촬영법 중 하나인 roll view는 유방의 내부 조직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촬영법은 일반적으로 유방조직이 겹쳐져 있거나 유방의 특정 부위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Roll view는 주로 RL, RM, RS, RI의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RL, RM의 경우 손의 위치는 유방의 상하에 위치하며, 촬영하는 방향은 유방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입니다. 이 방법은 유방의 중앙에서 겹쳐진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것 입니다.

반면, RS, RI의 경우 손의 위치는 유방의 위쪽 또는 외측에 위치하며, 촬영하는 방향은 유방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방향입니다. 이 방법은 유방의 상부 또는 외측에서 겹쳐진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CC촬영법일때 RL이란 유방 상부조직을 외측으로 돌린경우이며, MLO촬영법일때 RS란 유방 내측조직을 위로 돌린경우를 말합니다.

 

4. Mammography의 목적

Mammography의 목적은 유방암의 조기 발견과 진단입니다. 이를 위해, 최소한의 방사선 노출로 고 대조도, 고 해상도의 영상을 만들어 유방조직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ammography는 일반적으로 유방조직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종양과 같은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위해, 촬영시 유방을 적절하게 압축하여 세밀하게 촬영합니다. 이 방법은 유방내의 조직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보여주며, 암 조직의 밀도나 형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5. 임상영상평가표

유방촬영 임상영상평가표는 유방촬영 결과를 평가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도구는 유방촬영 영상의 소견과 유방암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유방촬영 임상영상평가표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1. 소견 구분: 이 구분은 유방촬영 영상에서 관찰되는 소견을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구분은 미세 소견, 결절 소견, 분포 소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소견 진단: 이 진단은 소견 구분에 따라 분류된 소견을 바탕으로 유방암 진단을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이 진단은 양성, 의심, 악성 등으로 분류됩니다.
  3. BI-RADS 범주: 이 범주는 소견 진단에 따라 유방암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범주는 0부터 6까지의 범주로 구분되며, 0은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6은 유방암이 이미 확인된 것을 나타냅니다.
  4. 추가적인 검사 권고사항: 이 권고사항은 BI-RADS 범주를 기반으로 유방암 진단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검사를 권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Q) MLO view에서 대흉근은 역상각형으로 외연이 볼록하거나 직선으로 보여야 한다. 그러나 대흉근이 오목하게 보일경우 점수는 어떻게 되는가? 3점
Q) 대흉근의 하단이 유두 후방선보다 위에 있을경우 점수는? 0점
Q) CC view에서 유두 후방선의 길이가 내외사위 영상과 비교할때 차이가 1cm이내이면 몇점? 5점
Q) 압박을 함으로써 움직임에 의한 영상의 흐림이 없는경우 몇점? 6점
Q) 노출이 판독하기에 적절한가에 대한 질문에서 별도의 밝은 전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판독이 가능할경우 몇점인가? 6점

 

7. 유방조직의 skin 영상의 농도

유방 조직의 skin 영상은 유방 조직과 피부의 경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영상에서는 피부가 회색조나 검은색조의 낮은 농도로 표시되어야 하며, 이것이 촬영 시 장비나 조명 등의 문제로 인해 농도가 높아지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skin 영상의 평균 밀도 값을 계산하고 이를 사용하여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계산합니다. 이 수치가 일반적으로 1.4이하이면, 촬영이 잘된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의 기준은 사용되는 장비나 촬영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의료진이 직접 촬영 결과를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skin 영상의 농도가 1.4이상이라면, 의료진과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조치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