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3. 14:38ㆍ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목차
1. 유방 석회화의 분포에 따른 양성종양, 악성종양 차이
2. 림프액 배액에 문제가 생겼을때 피부표면에 나타나는 현상
3. Halo sign
4. Coarse 또는 Popcorn-like calcification
5. 유방필름을 판독하기 위한 view box의 밝기 조건
6. 유방암 치료를 하기 위한 병기를 나누는 기준
7. QC에서 매일/매주 시행하는 화질관리 항목
8. 유방촬영 film 검사의 진단적 화질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인자
9. 정상 유방에서의 유선의 개수와 유도관의 직경크기
10. FNAC(Fine needle aspiration cystology)
11. Localization
1. 유방 석회화의 분포에 따른 양성종양, 악성종양 차이
유방 석회화의 분포는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에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양성종양에서 나타나는 석회화는 대부분 산재성(Scattered)으로 분포됩니다. 이러한 석회화는 크기가 작고 조밀도가 낮습니다. 또한, 이러한 석회화는 일반적으로 다른 징후와 함께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악성종양에서 나타나는 석회화는 보통 군집(Clustered)형태로 분포됩니다. 이러한 석회화는 크기가 크고 조밀도가 높습니다. 또한, 이러한 석회화는 종종 어떤 종양이나 병변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림프액 배액에 문제가 생겼을때 피부표면에 나타나는 현상
림프액은 혈액에서 나오는 체액 중 10% 정도로, 혈액순환과 함께 세포들이 생산한 대사산물, 독소,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고,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셀룰라이트 발생 시 지방세포와 연결조직 사이의 혈액과 림프액 순환이 방해되면서, 지방세포에 물이 쌓여 부풀어 오르게 되고, 피부가 오렌지 껍질같은 모양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분섭취, 마사지, 체형교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Halo sign
Halo sign은 종양이 아닌 병변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대표적으로는 감염성 병변에서 나타납니다. Halo sign은 병변 주변에 염증성 반응이 나타나서, 주변에 흰색 또는 밝은 색깔의 원형 혹은 반원형 둘레를 가지고 있습니다.
양성(Benign)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소견으로는 smooth margin(매끄러운 경계)이나 well-circumscribed mass(명확하게 경계가 나뉘어진 종양)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종양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지 않으며, 주위조직에 침윤하거나 전이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4. Coarse 또는 Popcorn-like calcification
양성 유방종양 중 Fibroadenoma는 대개 비교적 안정적인 성격을 띠고, 악성전환의 위험이 낮습니다. 하지만, 드물게 fibroadenoma가 퇴행하여 상세조직에서 암병변으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수유 후에 젖이 남아 생길 수 있는 것으로는, 유두 및 유방 감염, 유방조직의 염증, 상처, 종괴, 낭종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Coarse 또는 Popcorn-like calcification은 일반적으로 양성 종양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견이 나타난 경우에도, 혹시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전문가의 평가와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5. 유방필름을 판독하기 위한 view box의 밝기 조건
유방필름을 판독하기 위한 view box는 밝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유방 판독을 위한 view box의 밝기 조건은 3000nit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더 높은 밝기를 가진 view box는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3500nit 이상의 밝기를 가진 view box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높은 밝기 조건은 유방 필름에서 발견되는 작은 종양이나 세부적인 조직 변화 등을 더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밝기 조건은 유방 검진에서의 오진률을 낮추고, 정확한 진단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6. 유방암 치료를 하기 위한 병기를 나누는 기준
유방암의 치료를 하기 위한 병기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의 전이 여부, 원격 전이 등을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종양의 크기: 유방암 병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준은 종양의 크기입니다. 종양의 크기는 종양의 직경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이를 T(Tumor)로 나타내며, T0은 종양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Tis는 종양이 최초 발생한 부위에 국한된 경우를 나타냅니다. T1, T2, T3, T4는 종양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2. 림프절의 전이 여부: 유방암이 림프절로 전이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율은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N(Nodal)으로 나타내며, N0은 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N1, N2, N3은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3. 원격 전이: 유방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되는 경우, 치료가 어려워지고 예후가 악화됩니다. 이를 M(Metastasis)으로 나타내며, M0은 전이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M1은 다른 부위로 전이된 경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T, N, M의 조합으로 유방암의 병기를 나누어 평가하게 되며, 이를 TNM 병기라고 합니다. 이를 토대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7. QC에서 매일/매주 시행하는 화질관리 항목
유방촬영장치에서 매일 시행하는 화질관리(QC)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암실 청결상태점검 : 암실 및 촬영장치 주변의 청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먼지나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상기 관리: 현상기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현상약 용액의 농도, 온도, pH 등을 측정하여 안정적인 화질을 유지합니다.
증감지 상태확인 : 증감지의 흑점, 누점, 깨짐, 노이즈 등의 이상을 확인합니다. 불량 증감지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매주 시행하는 QC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감지 청결 : 사용한 증감지의 먼지, 오염물질 등을 제거합니다. 증감지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경우 화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착제 잔존량 검사 : 촬영 시 사용되는 정착제가 적절한 양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정착제의 양이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화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8. 유방촬영 film 검사의 진단적 화질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인자
자세: 유방 촬영에서 적절한 자세는 정확한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지 않으면 필요한 영역이 누락되거나 올바르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노출조건: 적절한 노출조건은 올바른 화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과소 노출 또는 과도한 노출은 영상의 대조를 악화시키고 유방 조직의 구조를 제대로 볼 수 없게 만들 수 있습니다.
현상처리: 현상처리는 촬영된 이미지를 개선하고 의료 전문가가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올바른 현상처리 기술과 기술자의 전문적인 기술은 영상의 명료도와 대조를 개선하여 정확한 진단을 돕습니다.
9. 정상 유방에서의 유선의 개수와 유도관의 직경크기
정상적인 여성 유방의 경우, 유선의 개수와 유도관의 직경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선의 개수: 일반적으로 15-20개의 유선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선들은 유방의 다양한 부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 유도관의 직경크기: 유도관은 유방에서 우유를 분비하기 위한 통로로서, 일반적으로 1-3mm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도관의 직경크기는 유방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 유선의 개수와 유도관의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유방의 상태와 비교하여, 유선의 개수나 유도관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크거나 작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종종 유방 질환의 징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유방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려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10. FNAC(Fine needle aspiration cystology)
만져지는 종괴의 세포검사를 간단하게 시행하여 악성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미세침흡인세포검사(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가 있습니다.
FNAC는 미세한 침으로 종양의 세포를 흡인하여 현미경 검사를 통해 암세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며, 진료실에서 외래 환자에게 직접 시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종양 내 세포 구성과 세포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악성종양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FNAC는 종양 내 세포 구성만을 확인하기 때문에 종양의 성격을 명확하게 밝히지는 못하며, 침습된 암의 위치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조직검사인 "조직검사(Biopsy)"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11. Localization
유방촬영 소견상 미세 석회화나 유방실질 조직의 왜곡과 비촉지성 미세 종괴로 수술을 하는 환자에게 최소한의 조직 제거를 위한 병소의 정확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경우, 유방종양 Localization이 필요합니다.
Localization은 유방촬영상에 나타난 병소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여 수술 시 병소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검사입니다. 이를 위해, 유방촬영 상에서 병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마커나 와이어를 삽입하여 병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시 병소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정확한 병소 제거를 통해 환자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Localization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며, 전체적인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만족도도 높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는 유방촬영 후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황과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검사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유방전문방사선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촬영술 정도관리 법규 (0) | 2023.04.14 |
---|---|
유방암검진 권고기준 및 유방촬영의 목적 (0) | 2023.04.13 |
유방촬영 검사방법 및 임상평가표 (0) | 2023.04.12 |
Galactography와 유방검사 (0) | 2023.04.12 |
여성호르몬과 유방암 (0) | 2023.04.11 |